-
-
제3차 이사회 개최, 제9기 임원진 구성 완료
2016-07-29
- 마약정책의 중심도약 다짐, 마약퇴치 캠페인도 함께 개최 - 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(이사장 이경희)는 지난 7월 29일 한국프레스센터(외신기자클럽)에서 2016년도 제3차 이사회를 개최하고 제9기 임원진 구성을 완료했다.제9기 임원진의 경우 이사회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하라는 국회와 정부 등의 권고사항을 받아들여 종전 82...
-
-
이경희 이사장, 콜롬비아공화국 독립기념식 참석
2016-07-20
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 이경희 이사장은 2016년 7월 19일,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제206주년 콜롬비아공화국 독립기념식에 참석하였다. 본 행사는 주한 콜롬비아 대사관의 공식 초청에 의하여 이루어졌으며, 지난 2014년 9월 KDI 국제대학원 중남미 포럼을 통해 교류하게 된 띠또 사울 삐니아 콜롬비아 대사와 한국마약퇴치...
-
-
아세안 8개국 마약류퇴치관련 공무원 방문
2016-07-20
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는 2016년 7월 19일(화) 오후 3시부터 5시까지 한국국제협력단(KOICA)의 ‘한-아세안 특별연수 : 마약범죄퇴치 및 국제협력“ 초청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베트남, 필리핀 등 아세안 8개국 공무원 등 24명을 대상으로 활동소개 및 중독재활센터 시설 견학 프로그램을 진행했다. 이경희 이사장은 방문단...
-
-
제6회 지역사회 마약퇴치캠페인 실시
2016-06-29
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(이사장 이경희)는 지난 6월 29일 오전 당산역 주변에서 제6회 지역사회 마약퇴치 캠페인을 실시했다.이번 제6회 지역사회 마약퇴치 캠페인에서는 당산역을 왕래하는 시민 300여명에게 마약퇴치 홍보물을 배포하며 약물남용의 폐해를 알렸으며 환경정리 활동도 병행했다.
-
-
제30회 세계마약퇴치의 날 기념식 개최
2016-06-27
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(이사장 이경희)는 ‘제30회 세계마약퇴치의 날 기념행사’를 식품의약품안전처(처장 손문기)와 함께 24일 오후 2시 그랜드 엠베서더 서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개최했다.
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가 주관하고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주최한 이번 행사는 손문기 식약처장을 비롯 국회 양승조 보건복지위원장, 새누리당 박인...
-
-
이경희 이사장, 인천국제공항 마약퇴치캠페인 참여
2016-06-22
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 이경희 이사장은 지난 21일(화)에 인천국제공항에서 진행된 세계마약퇴치의 날 기념 마약퇴치캠페인에 참여하였다. 이날 행사는 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 인천지부의 주관으로 진행되었고, 인천시청, 경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, 인천공항세관, 인천지방검찰청, 인천지방경찰청, 인천시약사회, 운서봉사단, 푸르미봉사단, 인천...
-
-
제5회 지역사회 마약퇴치 캠페인 실시
2016-05-31
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(이사장 이경희)는 지난 5월 31일 오전 당산역 주변에서 제5회 지역사회 마약퇴치 캠페인을 실시했다.이번 제5회 지역사회 캠페인에서는 당산역을 왕래하는 시민 500여명에게 마약퇴치 홍보물을 배포하며 약물남용의 폐해를 알렸다.
-
-
신임 이경희 이사장, 대한약사회를 첫 방문으로 본격 활동 시작
2016-05-31
- 약사공론, 서울시약사회, 서울마퇴본부도 차례로 방문 - 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 이경희 이사장이 취임 후 첫 방문지로 대한약사회를 선택하고 신임 이사장으로서의 본격 활동을 시작했다.지난 25일 제10대 마퇴본부 이사장으로 취임한 이경희 이사장은 이날 마퇴본부의 설립모태인 대한약사회를 첫 방문하고 조찬휘 대한약사회장에게 마퇴...
-
-
제10대 신임 이사장에 한남대 법대 명예교수 이경희 교수 취임
2016-05-25
- 기관 창립 제24주년 기념식과 함께 개최돼 - 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는 지난 25일 당산동 그랜드컨벤션센터에서 창립 제24주년 기념식과 함께 제10대 이사장 취임식을 거행했다.제9대 전영구 이사장 후임의 제10대 이사장으로 취임하게 된 한남대 법과대학 이경희 명예교수(67)는 지난 13일 마퇴본부 ...
-
-
마퇴본부, 강사 역량강화 심화교육 실시
2016-05-23
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 (이사장 이경희)는 지난 5월22일(일) 강사 역량강화 심화교육을 실시하였다. 이번 교육에서는 2015년도 개발된 6회기 고위험군 집단프로그램의 세부내용과 현장 사례를 함께 공유하고 소통하는 시간이였다.